Etc/GeekNewsWeekly 썸네일형 리스트형 22.11.21 GeekNews Weekly ⭐️ 1. 전 GitHub CTO, "지난 10년간 가장 큰 아키텍처 실수는 풀 마이크로서비스로 전환한 것" ⭐️ - 이번주 메일 제목이었는데 흥미로운 주제였구만 https://twitter.com/jasoncwarner/status/1592227285024636928 트위터에서 즐기는 Jason Warner “I'm convinced that one of the biggest architectural mistakes of the past decade was going full microservice On a spectrum of monolith to microservices, I suggest the following: Monolith > apps > services > microservices So,.. 더보기 22.10.17 GeekNews Weekly 1. 2. 스타트업의 성장 스토리만큼 재미난 게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의 성장 기록인데요. Asianometry 라는 유튜브 역사 채널이 1인 크리에이터로서 5년 만에 27만 명의 구독자와 월 $5K 수익을 달성한 방법을 꼼꼼히 적어줘서 옮겨봤습니다. 중요한 내용은 "틈새를 찾고, 꾸준히 영상을 올려야 한다" 인 것 같아요. 다만 꼭 유튜브 광고 수익만이 아니라, Patreon 을 통해서 지속 후원을 받고 후원자들에게 얼리 억세스를 제공하는 전략은 참고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와 비교해서 구독자 1억 명이 넘는 유튜버인 MrBeast는 썸네일 만드는 팀원만 6명이라고 하네요. 역시나 어느 정도 성장을 거친 다음엔 이런 전문화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놀라운 건 영상을 찍기 전에 썸네일 먼저 계획한다는 것! -.. 더보기 22.10.10 GeekNews Weekly https://news.hada.io/weekly/202241?utm_source=weekly&utm_medium=email&utm_campaign=202241 [GN#170] 20명 스타트업이 사용하는 30+개의 SaaS들 | GeekNews 일 잘하는 스타트업은 적재적소에 SaaS를 적용해서 업무효율을 증가시킵니다. 그래서 다른 스타트업이 어떤 것들을 쓰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항상 도움이 되는데요. Bytebase는 개발자를 위한 DB news.hada.io 1. text-to-image AI에서 지난 1년 동안 벌어진 일 https://news.hada.io/topic?id=7539 text-to-image AI에서 지난 1년 동안 벌어진 일 | GeekNews 지난 1년 요약DALL-E - 21.. 더보기 22.09.12 GeekNews Weekly 1.Announcing Unreal Rust https://maikklein.github.io/unreal-rust-1/ Rust로 Unreal 엔진을 이용하여 게임 개발 가능 Unreal AActor 위에서 API를 Rust 친화적인 방식으로 노출시키는 방식(C FFI활용) Rust 게임엔진인 Bevy의 Entity Component System(ECS)을 사용 rust를 공부하게 된 이상 이것도 해보고 싶다! Bevy is a refreshingly simple data-driven game engine and app framework built in Rust. https://bevyengine.org/news/introducing-bevy/ Entity Component System(ECS) 기반 .. 더보기 22.05.23 GeekNews Weekly 저는 서버사이드 SQLite에 올인합니다 https://news.hada.io/topic?id=6557 써 있는 단어중 절반 이상을 못 알아듣겠지만 한번 공부해 보고싶다. 좋은 보스가 사용하는 트릭들 https://news.hada.io/topic?id=6556 모든 것의 중심은 역시 사람이다. 『프로그래밍 언어 속 타입』 책 소개 https://blog.hjaem.info/2 시간이 될때 잘 읽어보고 싶은 글. 실용성이 중요한 프로그래밍이라 객체와 클래스를 쓸 줄 아는 게 먼저라 해도 개념 이해부터 차근차근 하고 싶은 건 역시 어쩔 수 없는 내 성격인가 보다. 코인에 대해 우리가 잘 몰랐던 여섯 가지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PXXy_c9QSeW7Ysc9.. 더보기 Things that used to be hard and are now easy https://jvns.ca/blog/2022/02/20/things-that-used-to-be-hard-and-are-now-easy/ SSL인증서 → Let's Encrypt Concurrency → async/await CSS로 중앙정렬 → flexbox/grid 빠른 프로그램 작성 → Go 이미지 인식 → 전이학습(Trasfer Learning) 크로스플랫폼 GUI 작성 → Electron VPN → Wireguard 리눅스 커널에서 내 코드 실행 → eBPF 크로스 컴파일 → Go/Rust는 기본 지원 클라우드 인프라 설정 → Terraform 개발환경 구성 → Docker 쓰레드와 메모리 안전하게 공유하기 → Rust 호스팅 서비스와 관련된 것들 CI/CD → GitHub Actions/Ci.. 더보기 2022년 PyTorch 와 TensorFlow 비교 https://www.assemblyai.com/blog/pytorch-vs-tensorflow-in-2022/ 보통 TensorFlow는 산업용, PyTorch는 연구용 이라고 얘기하지만 이건 옛날 정보에 기반한 이야기 실용적인 고려사항 : 보통 3가지 비교로 귀결 ㅤ→ 모델가용성 : 공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이 얼마나 많은가 ㅤ→ 배포인프라 : 얼마나 효율적으로 배포가 가능한가 ㅤ→ 에코시스템 : 다양한 환경/하드웨어 Model Availability PyTorch,TensorFlow 모두 자체 공식 모델 리포지토리가 있음 HuggingFace ㅤ→ PyTorch 에서만 사용가능한게 85%, 독점이 아닌 모델도 50%는 사용가능. 전체의 16%만 TensorFlow에서 사용 가능(8%만 TF) .. 더보기 22.05.03 GeekNews Weekly 최신 데이터 인프라를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 2.0 https://news.hada.io/topic?id=6435 내 최고의 관심사 등장!!! 2년 전에 나왔던 "최신 데이터 인프라를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 글이 버전업 되어서 "최신 데이터 인프라를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 2.0" 글이 나왔습니다. 데이터 디스커버리, 데이터 워크스페이스, 리버스 ETL 등을 지원하는 새로운 도구들이 많이 추가되었고요. 하나로 묶여 있었던 Ingestion & Transformation이 나눠지면서 Ingestion & Transport 와 Transformation으로 분할되고 Metrics Layer가 추가되었습니다. 재미난 건 글 말미에 "데이터 플랫폼"에 대한 가설을 제시하는데요. 기존의 데이터 인프라 스택은 다양한 ..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